[KC 와 KCS , S 인증]
KC 규격
(Certification of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)
KC 규격은 기타 장비 또는 외부 전파에 의해 불필요하게 발생하는 전자파와 통신장애, 장비의 오작동에 의한 인체 및 재산상의 피해를...
Risk based Inspection
P - 15 - 2012
1. 용어의 정의
(가) “위험기반검사(Risk Based Inspection, RBI)”란 설비의 고장발생 가능성과 사고
피해 크기의 곱에 의해 결정되는 위험도에 의해 검사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
기법을...
[화학사고 예방관리계획서]
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 작성 등에 관한 규정
화학물질안전원(사고예방심사과), 043-830-4212
제1장 총칙
제1조(목적) 이 규정은 「화학물질관리법」 (이하 "법"이라 한다) 제23조, 같은 법 시행규칙(이하 "규칙"이라 한다) 제19조 규정에 따른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의...
[가스감지기 및 경보][Gas Detector and Alarm]
Reference: 산업안전보건법, 화학물질관리법, 위험물안전관리법
용어
(가) “인화성 가스누출감지경보기 등”이라 함은 인화성 물질의 누출을 감지하여 그
농도를 지시하고, 미리 설정해 놓은 농도에서 자동적으로 경보가 울리도록 하는 장치를...
[위험물질의 종류]
산업안전보건기준에관한 규칙
위험물질의 종류는 산업안전보건법, 위험물안전관리법에서 세부 구분을 정의하고 있음.
폭발성 물질 및 유기과산화물
가. 질산에스테르류
나. 니트로화합물
다. 니트로소화합물
라. 아조화합물
마. 디아조화합물
바. 하이드라진 유도체
사. 유기과산화물
아. 그 밖에 가목부터...
[U01- 영업허가 ]
가. 제1절 유해화학물질 영업구분 및 영업허가
화관법
제27조(유해화학물질 영업의 구분) 유해화학물질 영업은 다음과 같이 구분한다.
1. 유해화학물질 제조업: 판매할 목적으로 유해화학물질 중 허가물질 및 금지물질을 제외한 나머지 물질을...
[가스시설의 폭발위험장소 종류 구분 및 범위 산정에 관한 기준]
가스시설의 폭발위험장소 종류 구분 및 범위 산정에
관한 기준
Classification Code for Explosive Hazardous Area on Gas Facility
종목코드번호 KGS GC101 2018
코 드 명
가스시설의 폭발위험장소 종류 구분...
[유해·위험물질 규정량]
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
유해ㆍ위험물질 규정량(제43조제1항 관련)
번호
유해ㆍ위험물질
CAS번호
규정량(kg)
1
인화성 가스
-
제조ㆍ취급: 5,000(저장: 200,000)
2
인화성 액체
-
제조ㆍ취급: 5,000(저장: 200,000)
3
메틸 이소시아네이트
624-83-9
제조ㆍ취급ㆍ저장: 1,000
4
포스겐
75-44-5
제조ㆍ취급ㆍ저장: 500
5
아크릴로니트릴
107-13-1
제조ㆍ취급ㆍ저장: 10,000
6
암모니아
7664-41-7
제조ㆍ취급ㆍ저장: 10,000
7
염소
7782-50-5
제조ㆍ취급ㆍ저장: 1,500
8
이산화황
7446-09-5
제조ㆍ취급ㆍ저장: 10,000
9
삼산화황
7446-11-9
제조ㆍ취급ㆍ저장: 10,000
10
이황화탄소
75-15-0
제조ㆍ취급ㆍ저장: 10,000
11
시안화수소
74-90-8
제조ㆍ취급ㆍ저장: 500
12
불화수소(무수불산)
7664-39-3
제조ㆍ취급ㆍ저장: 1,000
13
염화수소(무수염산)
7647-01-0
제조ㆍ취급ㆍ저장: 10,000
14
황화수소
7783-06-4
제조ㆍ취급ㆍ저장: 1,000
15
질산암모늄
6484-52-2
제조ㆍ취급ㆍ저장:...
[oxygen balance ]
http://www.sehwapub.co.kr
산소 균형
폭발성 물질이 폭발했을 경우, 탄소는 CO2로 수소는 H2O로, 또 질소는 N2가 되는 것으로 구한 산소의 과부족을 말하며 산소가 남는 것을 산소 균형의 양,...
[가스누출 감지경보기]
정의
“인화성 가스”이라 함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별표 1의 제4호의 인화
성 액체 중 인화점이 35 ℃ 이하인 물질의 증기와 제5호에서 정한 인화성 가스
등을 말한다....